도로 길 영어로 road vs street 차이 비교 구분하기
본인이 운행하고 있는 차량이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 일반도로에서 1차선, 추월차선 등으로 주행하다가 경찰이나 암행단속차량에 차선위반이라고 단속에 걸려 벌점, 과징금 등을 납부하게 되면 얼마나 당황스럽고 황당할까요? 1차선, 왼쪽차로, 오른쪽차로로 운행이 가능한 차량 종류는 어떻게 되며, 편도 차선별로 구분하는 방법과 지정차로제 위반으로 단속을 당할 경우 벌점 등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픽업트럭이 무엇이며 특징, 종류는 어떤것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오늘 자동차 운행 시 나도 모르게 단속을 당했는지, 과태료는 얼마인지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왼쪽차로 오른쪽차로란
자동차 지정차로제는 1999년 4월에 승용차만을 위한 제도라는 정치적인 이유로 폐지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2000년 6월에 다시 부활했고, 2018년 6월부터 간소화되어서 이제는 고속도로와 일반도로 모두 왼쪽차로와 오른쪽 차로로 구분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왼쪽과 오른쪽 차로만 잘 이해하면 될 듯합니다.
▷ 왼쪽차로, 오른쪽 차로 운행 가능한 자동차는자동차 종류 중 승용차와 35인승 중형승합차는 모든 차로에서 통행이 가능합니다.
그 이외의 36인승 이상 승합차, 버스, 소형화물차, 건설기계, 오토바이, 픽업트럭은 오른쪽차로만 통행할 수 있습니다. 승용차 및 중형이하 승합차에 트레일러를 연동한 경우 왼쪽차로로 주행가능하니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차선과 연관된 표지판과 표시선
차선 변경 시 주의할 점을 알았다면, 이제는 차선과 연관된 표지판과 표시선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표지판과 표시선은 운전자들에게 도로의 상황과 규칙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안전하고 원활한 대중교통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유형의 표지판과 표시선이 있고,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차선과 연관된 표지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시성 표지판 운전자들에게 도로의 상황과 방향, 거리 등을 알려주는 표지판입니다.
예를 들어, 2차로, 3차로, 4차로 등의 표지판은 개별적으로 해당 방향에 몇 개의 차로가 있는지 알려줍니다.
편도 2차선 도로 고속도로, 일반도로
아래 차선수에 따라 설명해 드리자면, 2차선 도로에서는 고속도로는 1차로는 추월차선, 2차로는 주행차선이 되기 때문에 왼쪽, 오른쪽 차로 구분이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도로에서는 당연히 1차로는 왼쪽차로, 2차로는 오른쪽 차로가 됩니다. 고속도로에서는 차종 구분 없이 모든 차량들이 모두 2차로로 통행해야 하고 추월 시에만 1차로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일반도로에서는 좌회전 시, 앞지르기할 때에만 오른쪽 차로 차량이 왼쪽 차로 통행이 잠깐 가능합니다.
추월차로 이용 시 주의 사항
추월을 할 때에는 무조건적으로 왼쪽 차로로 해야 합니다. 2차선에서 주행 시에는 1차선으로 추월 후 2차선으로 복귀해야 하며, 3차선에서 주행 시에는 2차선을 사용해서 추월해야 합니다. 추월 후 원래 차로로 복귀할 때에는 무조건적으로 점선 구간에서 해야 합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추월을 위해 1차로 진입을 한 후에는 빠르게 2차로로 복귀해야 해야만 되는 마음에 실선 구간에서 차선 변경을 할 우려가 있습니다. 빠른 추월과 주행 차로 복귀를 위해 제한 속도를 넘어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과속 단속 대상이 됩니다.
추월차로에서 몇 분을 달려야 단속이 되나요
추월차로에서 몇 분을 달렸는지, 몇 km의 속도로 달렸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상황과 용도에 맞게 차로를 이용했는 지에 따라 판단을 한다고 합니다. 1분을 달려도 추월과 상관없이 무관하게 정속주행을 했더라면 단속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추월을 위해 3분을 달렸지만 추월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 지속되어 추월차로 주행이 길어졌다면 이는 단속 대상이 아니겠지요. 이 부분에 있어 운전자와 단속 경찰관 간의 의견 다툼이 어느 정도 예상되네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명절 등 정체가 심한 경우에도 무요건 차로를 하나 비워둬야 한다면 매우 불합리한 상황을 초래하게 됩니다. 대중교통 혼잡 등으로 모든 차로의 주행속도가 80kmh 이하 일 때는 추월차로를 주행차로로 이용해도 됩니다.
일반도로 좌회전 차로가 2개 이상일 경우
추가로 일반도로를 주행합니다. 보시면 좌회전 차로가 2개 이상인 곳이 있습니다. 이때는 왼쪽차로와 오른쪽 차로가 개별적으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오른쪽 차로에 해당하는 차량이 제일 안쪽 차로에서 좌회전을 하면 범칙금 부과대상이라는 점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과태료나 사고 시 책임을 지게 될 가리기 위해서는 규정 준수는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안전을 최우선으로 제작된 도로 위의 약속이니깐 운전하시는 분들은 잘 이해하고 숙지하셨으면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자동차 왼쪽차로
자동차 지정차로제는 1999년 4월에 승용차만을 위한 제도라는 정치적인 이유로 폐지가 되었습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차선과 연관된 표지판과
차선 변경 시 주의할 점을 알았다면, 이제는 차선과 연관된 표지판과 표시선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편도 2차선 도로 고속도로,
아래 차선수에 따라 설명해 드리자면, 2차선 도로에서는 고속도로는 1차로는 추월차선, 2차로는 주행차선이 되기 때문에 왼쪽, 오른쪽 차로 구분이 없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