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퇴직금은 얼마일까 간단하게 알아보는 퇴직금 계산법
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한 회사에서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노후를 위한 퇴직금이 될 수도 있고, 젊은 사람들에게는 또 다른 시작을 위한 자금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중요한 퇴직금은 어떻게 계산되어지는지, 어떤 원리인지 한번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근무 후 퇴직할 때 받는 보상금으로,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근로자의 근속 기간과 급여 수준에 따라 계산되며, 근로자의 노후 생활을 도와주고 갑작스러운 소득 중단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급됩니다.
퇴직금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퇴직금 계산의 기초 원리
퇴직금 계산의 기초 원리는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즉, 퇴직 전 3개월간 받은 임금을 해당 기간의 일수로 나누어 1일 평균임금을 구하고, 다시 30일을 곱하여 1개월 평균임금을 구합니다. 1일 평균임금 퇴직 전 3개월간 받은 임금 총액 divide 퇴직 전 3개월간의 일수 퇴직금 1일 평균임금 times 30일 times 총 재직일수 divide 365 예를 들어, 퇴직 전 3개월간의 임금 총액이 500만원이고, 해당 기간의 일수가 90일이라면 1일 평균임금은 55,555원500만원 divide 90일이 됩니다.
만약 재직 기간이 5년이라면 퇴직금은 16,666,670원55,555원 x 30일 x 1825일 divide 365이 됩니다. 다만, 퇴직금 계산 시에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엑셀로 만 나이, 근속연수 구하기
입력된 수식을 알아보겠습니다. 1. 생일에는 19881224 형식으로 입력해주면 엑셀에서 날짜형으로 인식합니다. 2. 오늘 날짜에는 TODAY라는 함수를 사용합니다. 오늘이 아닌 특정일을 지정하셔도 됩니다. 3. 만 나이를 계산해주는 수식을 입력합니다. DATEDIF에서 startdate는 생일이 있는 B2, enddate에는 오늘 날짜가 있는 C2, 만 나이를 계산하는 식은 D2에 넣어줍니다.
D2에 넣어줄 수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나이, 즉 연도를 반환받을 것이므로 unit에는 Y를 입력합니다.
DATEDIFB2,C2,Y
근무년수는 같은 수식을 넣습니다. 1이 입사일, 2이 퇴사일, 3이 근무년수로 변경될 것입니다.
환산 산출세액 계산
환산산출세액 과세표준 x 세율 1억 8,518만원 x 38 7,036만원 지난번 계산한 20년 근속 1억 퇴직금을 수령한 일반 근로자의 경우 과세표준이 1,120만원 이고 세율이 6 구간이라서 환산 산출세액이 67만원 나왔던 사례와 비교해보면, 100배에 가까운 환산 산출세액이 나왔음을 비교해 볼 수 있어요. 일반 직장 근로자와 임원 퇴직금은 1억과 7억 총 7배 차이가 났지만, 환산산출세액은 67만원과 7,000만원 총 100배 차이남을 알 수 있어요.
이번 세제 개편으로 일반 근로자의 세금 계산 기준이 완화되었음이 체감되는 부분입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퇴직금 차이점
퇴직금은 근무 형태에 따라 다르게 계산됩니다. 대표적인 근무 형태인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퇴직금 차이를 알아봅시다. 먼저, 정규직 직원의 퇴직금은 일한 기간 1년에 관해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지급합니다. 이때 평균임금이란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반면 비정규직 직원의 퇴직금은 다소 복잡합니다. 고용 형태에 따라 퇴직금 지급 기준과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기간제 근로자의 경우 1년 이상 근무하고 계약이 만료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지만, 파견근로자나 용역근로자는 해당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는 퇴직금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비정규직 직원이라면 본인의 고용 형태와 퇴직금 규정을 미리 확인하시고, 만약 의문사항이 있으면 회사의 인사팀이나 노동부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퇴직소득세 예시
근속연수 20년에 퇴직금 1억원을 예시로 보겠습니다. 퇴직소득금액먼저, 비과세소득은 특히 없습니다.고 가정을 하면 퇴직금 1억원이 퇴직소득금액이 됩니다. 퇴직소득공제퇴직소득공제는 근속 20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1,500만원 20 10 250만원 4,000만원 환산급여퇴직소득금액 1억원에서 퇴직소득공제 4,000만원을 차감하면 6,000만원이 됩니다. 여기에 12를 곱하고 다시 근속연수인 20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1억원 4,000만원 12 20 3,600만원 환산급여공제환산급여공제 해당 구간인 7,000만원이하 구간의 계산식을 적용합니다. 800만원 3,600만원 800만원 60 2,480만원 과세표준환산급여인 3,600만원에서 환산급여공제 2,480만원을 차감하면 1,120만원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퇴직금 계산의 기초 원리
퇴직금 계산의 기초 원리는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엑셀로 만 나이, 근속연수
입력된 수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환산 산출세액 계산
환산산출세액 과세표준 x 세율 1억 8,518만원 x 38 7,036만원 지난번 계산한 20년 근속 1억 퇴직금을 수령한 일반 근로자의 경우 과세표준이 1,120만원 이고 세율이 6 구간이라서 환산 산출세액이 67만원 나왔던 사례와 비교해보면, 100배에 가까운 환산 산출세액이 나왔음을 비교해 볼 수 있어요.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