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승진 전보 시 호봉 획정 방법, 호봉획정표

공무원 승진 전보 시 호봉 획정 방법, 호봉획정표

공무원은 상위직급으로 승진하는 경우 승진일에 호봉이 획정됩니다. 승진 후에는 호봉이 변경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승진하는 경우 호봉이 줄어듭니다. 그러면 1호봉인 경우, 승진 후 해당 호봉이 없는 경우 어떠한 방식으로 될까요? 오늘은 공무원 승진 전보 시 호봉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승진 후 호봉이 차감되는 이유를 아시나요? 호봉제가 직업공무원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직업공무원제란 깜짝 놀랄만한 젊은 인재들을 공직에 유치하여, 정년 퇴임 시까지 오랜 기간 에 걸쳐 성실하게 이행하는 근무하게 하여 순서에 맞게 경력발전을 이룰 수 있게 운영되는 인사제도를 말합니다.

직업공무원제는 전통적으로 계급제에 입각하고 있어, 5급으로 들어온 사람과 9급으로 들어와 5급까지 승진한 사람사이에 차이를 둡니다.


연구직 공무원의 승진 시 호봉 획정
연구직 공무원의 승진 시 호봉 획정


연구직 공무원의 승진 시 호봉 획정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28 다목의 규정에 따라 연구관 승진 후 호봉을 획정합니다. 승진 전 연구사의 잔여기간은 승진 후 연구관의 잔여기간으로 합니다. 8호봉, 10호봉, 12호봉, 14호봉, 16호봉, 18호봉, 20호봉, 22호봉, 24호봉, 26호봉, 28호봉, 30호봉, 32호봉, 34호봉 및 36호봉에서 승진할 경우 승진된 계급에서 호봉을 획정한 후 잔여기간에 6월을 가산합니다. 이 경우 연구사에서의 잔여기간이 6월 이상이면 총 잔여기간이 1년을 초과하게 되나 승진 시 잔여기간 6월을 가산하므로 승진일에 바로 승급하지 않고 다음 정기 승급일에 승급합니다.

지도직 공무원의 승진 시 호봉 획정
지도직 공무원의 승진 시 호봉 획정

지도직 공무원의 승진 시 호봉 획정

지도직공무원은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28 라목의 규정에 따라 승진 후 호봉을 획정합니다.

3호봉, 6호봉, 9호봉 11호봉, 13호봉, 16호봉, 18호봉, 20호봉, 22호봉, 24호봉, 26호봉, 28호봉, 30호봉, 32호봉, 34호봉 및 36호봉에서 승진할 경우 승진된 계급에서 호봉을 획정한 후 잔여기간에 6월을 가산합니다. 등등 내용은 연구관과 동일합니다.